...
윈도우 10 메모리 누수, 초과 16GB 본문
언제부터 인가 테스트 용도로 사용하는 컴퓨터 에서 아래와 같이 메모리가
아래와 같이 너무 높아서 고민을 하다 찾아보니 많은 블로거분 들이 이러한 현상을 겪은 것 같습니다.
그래서 몇몇 블로거들의 내용을 보고 따라 했는데
메모리 환경이 달라서 모험을 했습니다.
01. 작업 환경 입니다.
작업 환경 |
|
O/S |
윈도우 10 |
MEMORY |
DDR3 16GB |
CPU | Intel(R) i5-4210H CPU @ 2.90GHZ 2.90GHZ |
02. 처음 메모리 초과 현상의 내용입니다.
02. 윈도우키 + R 키를
동시에 누른 후 regedit를 입력. [확인] 을 클릭
03. 컴퓨터\HKEY_LOCAL_MACHINE\SYSTEM\ControlSet001\Services\Ndu
로 들어가서 [\HKEY_LOCAL_MACHINE\SYSTEM\ControlSet001\Services\Ndu]
Start를 확인
아래와 같이 작업을 해줍니다.
작업전에는 2이 였습니다.
다른 블로거들은 4로 변경 하였는데
저는 4가 아니라 10으로 변경 하였습니다.
아래는 4 로 변경했을때 의 내용입니다.
컴퓨터를 재부팅 후 확인 결과
변경 전 후 전혀 달라진게 없었습니다.
저의 블로거의 오신분이 혹시 변경전 사진하고 똑같은 사진 아니냐고 하시는 분들이 많으실것 같아서
몇 번을 재부팅 해도 달라지는게 없었습니다.
물론 변경전 사진도 재부팅 후 캡쳐한 사진 입니다.
아래 사진도 Value 4 로 변경 하고 재부팅 후 촬영한 겁니다.
아래 사진은 Value 값 8로 변경 후
재부팅 후 메모리 에나오는 Dash Board의 그래프들이 조금더 낮게 나오는 모습입니다.
달라진 점
01. 메모리 Dash Board의 그래프가 눈에 보일정도로 안정되었습니다.
02. 메모리구성 이라는 그래프의 Page 간격이 줄어 들었습니다.
03. 사용가능 의 52.9MB 에서 → 13.2GB 으로 늘어난 점
04. 페이징 풀 이 15.1 GB 에서 → 251MB 으로 늘어난 점
입니다.
용기를 내어서 Value 값을 10로 변경 하였습니다.
아래 사진은 Value 값 10로 변경 후
재부팅 후 메모리 에나오는 Dash Board의 그래프들이 조금더 낮게 나오는 모습입니다.
달라진 점
01. 메모리 Dash Board의 그래프가 눈에 보일정도로 안정되었습니다.
02. 메모리구성 이라는 그래프의 Page 간격이 줄어 들었습니다.
03. 사용가능 의 13.2GB 에서 → 13.5GB 으로 늘어난 점
04. 페이징 풀 이 251MB 에서 → 251MB 으로 동일 했습니다.
입니다.
저는 아래와 같이 결과가 나와서 Value 값 10까지만 변경 하였습니다.
아래 사진은
변경한 내용입니다.